1. Rescue Mode 란?
Linux가 부팅이 안되거나, 실수로 필수 구성요소(mount, yum, ssh)를 삭제했을 경우 CD, DVD, USB등의 media를 통해 복구하는 모드
ex) /etc/fstab 에서 '/' 파티션 옵션에 오타등으로 mount 가 불가능하여 커널패닉이 발생했을 경우 복구가능
2. Rescue Mode 진입 절차
1. CD, DVD, USB 등의 media를 넣고 부팅
2. rescue 모드 선택
3. 언어선택
4. keyboard type 선택
5. rescue mode 선택
- 복구환경에서 로컬에 설치된 linux를 찾아 /mnt/sysimage 마운트를 시도
- read-write 로 mount 시 (continue)
- read-only(읽기전용) 으로 마운트시 (Read-Only)
6. Shell 접근
3. Rescue Mode 작업
/mnt/sysimage 시스템 루트환경으로 변경
# chroot /mnt/sysimage
- 루트암호 변경, 패키지 설치 등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라이브러리 실행파일 실행가능
4. 사용 예시
1) fsck 파일시스템 체크
- 마운트된 장치명 확인
# mount
- 체크할 파티션 umount
# umount /dev/md3
- fsck 명령으로 시스템 점검
# fsck -a /dev/md3
(2) grub 복구
- /boot/grub 에서 minix_stage1_t 삭제 후 테스트
- grub 모드로 들어간뒤 복구진행
# root (hd0,0) - 첫번째 디스크에 첫번째 파티션
# setup (hd0)
- 복구후 reboot
'Linux >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6] 메인보드 교체시 70-persistent-net.rules 제거 (0) | 2022.05.10 |
---|---|
[CentOS] SoftRaid 디스크 장애시 교체방법 (0) | 2022.05.10 |
[CentOS] hostname 변경 (0) | 2022.03.30 |
[CentOS] Profile, Bashrc (0) | 2022.03.25 |